본문 바로가기
악성코드 정보

대통령 선거 관련 내용을 담은 취약한 한글 파일 발견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2. 10. 25.

ASEC에서는 그 동안 한글과 컴퓨터에서 개발하는 한글 소프트웨어 존재하는 취약점들을 악용하여 악성코드 감염을 시도한 공격 사례들에 대해 여러 차례 공유 한 바가 있다. 특히 최근 1달 사이만을 살펴보더라도 아래와 같이 다수의 공격 사례들이 있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이메일에 첨부된 한글 파일을 열게 될 경우에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2012년 10월 24일, 다시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알려진 취약점을 악용하는 취약한 한글 파일 2건이 발견되었다. 이 번에 발견된 취약한 한글 파일 2건은 국내 유명 포털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메일 서비스의 이메일 주소 이용하고 있으며, 취약한 한글 파일들이 이메일의 첨부 파일로 존재 한다.


첫 번째 메일은 아래 이미지와 같이 "핵심공약"이라는 메일 제목에 "핵심공약.hwp" 라는 한글 파일이 첨부 파일로 존재하는 형태이다.



그리고 두 번째 메일은 아래 이미지와 같이 "현안대응"이라는 메일 제목에 "현안대응.hwp"이라는 한글 파일이 첨부 파일로 존재한다.



첨부 되어 있는 "핵심공약.hwp (164,629 바이트)"을 열게 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대통령 선거의 공약들과 관련된 내용이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두 번째 "현안대응.hwp (168,725 바이트)"를 열게 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한국의 정치적인 상황들과 관련된 내용이 나타나게 된다.



이 번에 발견된 해당 파일들은 일반적인 OLE 포맷을 따르지 않고 아래 이미지와 같이 한글  Version 2 포맷이라는 별도의 파일 포맷 형식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들 내부에는 아래 이미지와 같이 별도의 PE 파일이 임베디드(Embedded) 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들을 열게 되면 모두 공통적으로 시스템 사용자 모르게 백그라운드로 "svc.exe (126,976 바이트)" 파일을 생성하게 된다.


C:\Documents and Settings\Tester\Local Settings\Temp\svc.exe


생성된 svc.exe는 다시 DLL 형태의 파일인 "wdmaud.drv (78,336 바이트)" 를 다음 경로에 생성하게 된다.


C:\WINDOWS\wdmaud.drv


생성된 wdmaud.drv 는 윈도우 시스템 프로세스인 explorer.exe와 winlogin.exe의 스레드(Thread)로 인젝션이 성공하게 되면 감염된 시스템에서 다음의 악의적인 기능들을 수행하게 된다.


파일 다운로드 및 업로드

CMD.EXE를 이용한 콘솔 명령 실행

실행 중인 프로세스 리스트 수집

감염된 시스템 컴퓨터명 수집

감염된 시스템 IP와 프록시(Proxy) 서버 주소 수집

윈도우 사용자 계정 명 수집

감염된 시스템의 윈도우 버전과 언어 정보 수집


감염된 시스템에서 수집한 정보들은 한국에 위치한 특정 시스템으로 HTTP를 이용해 전송하게 된다.


이 번에 발견된 대통령 선거 관련 내용을 담고 있는 취약한 한글 파일들은 모두 V3 제품 군에서 다음과 같이 진단한다.


HWP/Exploit

Trojan/Win32.Npkon

Trojan/Win32.Dllbot


APT 전문 대응 솔루션인 트러스와쳐(TrusWatcher)에 포함된 DICA(Dynamic Intelligent Content Analysis)에 의해 시그니처 없이 아래와 같이 탐지가 가능하다.


Exploit/HWP.AccessViolation-SEH


향후 출시 예정인 V3 인터넷 시큐리티(Internet Security) 9.0 에 포함 예정인 ASD 2.0의 MDP 엔진에서도 시그니처 없이 다음과 같이 탐지가 가능하다.


Suspicious/MDP.Document

Dropper/MDP.Exploit

Suspicious/ MDP.Exploit

Suspicious/MDP.Behavior


현재 한글과 컴퓨터에서는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들이 악용하는 취약점에 대한 보안 패치를 배포 중인 상태이다. 그러므로 해당 보안 패치를 설치하는 것이 악성코드 감염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방안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