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악성코드 정보

국내에 지속적으로 유포 중인 Makop 랜섬웨어 (이메일 첨부)

by 분석팀 2020. 9. 10.

ASEC 분석팀에서는 올해 4월에 이력서로 위장하여 유포되던 makop 랜섬웨어가 8월부터 다시 활발하게 유포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2020/04/13 - [악성코드 정보] - [주의] 이력서로 위장한 makop 랜섬웨어 (04.13)

 해당 랜섬웨어는 여전히 이메일 형태로 유포되고 있으며 HWP, PDF와 같은 문서 형태의 실행 파일(.exe) 아이콘으로 위장하고 있다.

 

  • 20200908(경력사항도같이확인부탁드립니다 열심히하겠습니다).exe
  • 입사지원서_20200907(경력사항도같이기재되어있습니다 참고바랍니다 열심히하겠습니다).exe
  • 경력사항_200828(경력사항도 같이 확인부탁드리겠습니다 열심히하겠습니다).exe
  • 경력사항_200826(경력사항도 같이 확인부탁드리겠습니다 열심히하겠습니다).exe
  • 경력사항_200824(경력사항도 같이 기재하였으니 확인부탁드릴께요 열심히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exe
  • 문의사항(급하게 문의사항이 있어서 메일드리니 빠르게 처리 부탁드릴께요).exe
  • 1.문의사항(아무래도 긴급한 일이라 부탁좀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exe
  • 포트폴리오_200824(경력사항도 같이 기재하였으니 확인부탁드릴께요 열심히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exe
  • 문의사항(급하게 처리할 부분이라 바쁘시더라도 부탁드리겠습니다).exe
  • 포트폴리오_200812(경력사항도 같이 확인 부탁드리겠습니다 열심히하겠습니다).exe

 

문서 형태의 실행 파일 아이콘으로 위장한 Makop 랜섬웨어

 

해당 랜섬웨어가 실행되면 아래와 같은 악성 행위를 수행한다.

1. 시작 시 자동 실행을 위한 레지스트리 등록 (*지속 메커니즘) 

2. 볼륨 섀도 삭제 및 암호화 프로세스 수행. (*랜섬웨어 행위)

 

 

1. 시작 시 자동 실행을 위한 레지스트리 등록 (*지속 메커니즘)

레지스트리 Run 키 등록 

 

2. 볼륨 섀도 삭제 및 암호화 프로세스 수행. (*랜섬웨어 행위)

 

CMD 명령을 이용한 볼륨 섀도 삭제

 

파일 암호화 수행 

 

감염 시 원본파일명.[랜덤8].[akzhq830@tutanota.com].makop 로 파일명이 변경된다.

 

암호화된 파일명

 

각 디렉토리 내에 생성된 랜섬노트는 다음과 같다.

 

Makop 랜섬노트

 

아래의 그림은 ASEC의 RAPIT 분석 인프라를 통해 확인된 프로세스 호출과정을 나타낸다.

 

프로세스 호출구조

 

아래와 같은 명령을 수행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vssadmin delete shadows /all /quiet
  • wbadmin delete catalog -quiet
  • wmic shadowcopy delete

 

[분석 요약]

Makop 랜섬웨어는 감염된 시스템 내에서 지속적으로 악성 행위를 수행하기 위한 레지스트리 키를 등록한다. 이 후 윈도우 시스템 복원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도록 볼륨 섀도 복사본을 삭제 한 뒤 암호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안랩 V3 제품군에서는  유형의 악성코드를 다음과 같이 탐지하고 있다.

 

 

[파일 진단]

- Trojan/Win32.RansomCrypt.R350593 (2020.09.08.05)

 

V3 파일 진단 - Trojan/Win32.RansomCrypt.R350593

 

 

[행위 진단]

- Malware/MDP.SystemManipulation.M2255 (2019.08.02.09)

 

V3 행위 진단 - Malware/MDP.SystemManipulation.M225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