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악성코드 정보1153

국내 백신에 대한 새로운 무력화 시도 (GandCrab v5.0.4) 최근 ASEC은 GandCrab 유포 스크립트를 모니터링 중 국내 백신을 대상으로 하는 새로운 무력화 방식을 사용함을 포착하였다. 이전 버전에선 아래의 [그림 1]과 같이 "Uninst.exe"의 실행을 통해 제품 삭제를 시도했다면, 최근 발견된 유포 스크립트는 해당 방식을 제거하고 V3 서비스를 종료하려는 새로운 시도가 발견 되었다. (지난 글: http://asec.ahnlab.com/1171) [그림 1.] 기존 V3Lite 언인스톨 관련 코드 (GandCrab v5.0.3) 동작방식에 있어서도 변화가 확인되었으며 기존에는 *.JS 자바 스크립트 파일에 의해 GandCrab 랜섬웨어 실행파일(*.EXE)이 생성 및 실행되는 구조였다면, 현재 유포되는 형태는 아래의 [그림 2]와 같이 파워쉘을 통해 .. 2019. 1. 7.
Microsoft Office Excel - DDE 이용 악성 기능 실행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제품에서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공하는 프로토콜인 DDE (Dynamic Data Exchange)를 이용하여 페이로드를 전달하는 문서 파일은 VBA 매크로 코드를 이용하지 않고도 악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이다. 2017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이러한 DDE를 이용한 악성 워드, 엑셀 등의 문서 파일이 유포되었고, 그해 12월 마이크로소프트는 워드만 DDE 기능을 기본적으로 비활성 하였다. 반면 엑셀에 대해서는 DDE 비활성화를 하지 않았으며 다음과 같은 수식(Formula) 표현으로 여전히 calc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cmd 커맨드를 실행할 수 있다. =cmd|'/C calc'!A0 +cmd|'/C calc'!A0 -cmd|'/C calc'!A0 @SUM.. 2018. 12. 17.
GandCrab 5.0.9 등장 안랩 ASEC은 갠드크랩 악성코드관련 정보를 게시하는 marcelo 트위터를 통해 GandCrab의 새로운 버전인 v5.0.9 파일을 확인하였다. 현재 국내에서 활발히 유포 되고있는 Gandcrab v5.0.4와 다른 점은 아래 [그림 1]과 같은 메시지 창을 가장 먼저 띄운다. 이 메시지를 보면 곧 국내에도 Gandcrab v5.0.9가 유포될 것으로 보이며 사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그림 1] 메시지 박스 해당 메시지 박스를 클릭하기 전 까지는 감염이 되지 않으며 확인을 누를 시 기존에 알려진 Gandcrab과 동일하게 특정 프로세스 종료 및 특정 사용자 언어를 확인하여 감염 유무 결정, 암호화 시 랜덤명으로 확장자 변경 등의 행위를 한다. 바탕화면과 랜섬노트, 내부버전 모두 5.0.9로 변경되었.. 2018. 12. 4.
DOC 확장자를 사용하는 XML파일 대량 유포 중 (Emotet) 안랩 ASEC은 국내 사용자를 대상으로 문서 확장자를 사용하는 XML파일을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파일은 구조적인 데이터를 쓰기위해 만들어진 파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 유포되는 doc확장자의 XML파일은 아래 그림처럼 상단에 가 명시되어 있다. 이는 XML파일을 Word로 연결하여 실행하겠다는 의미이며, 이후 내용은 Word로 읽어 실행된다. progid값은 다른 값으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형태의 Excel 파일로 악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XML파일을 실행하면 Word 프로그램을 통해 실행되며 VBA (Visual Basic for Applications, Microsoft Office 응용프로그램의.. 2018. 11. 28.
CVE-2018-8174 취약점 분석 안랩 ASEC은 랜섬웨어를 포함하여 국내 악성코드 유포에 널리 사용되는 IE 취약점 CVE-2018-8174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해당 취약점은 메그니베르 랜섬웨어 유포에도 사용되고 있으며, 보안패치 적용을 통해 피해를 예방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MS 보안 업데이트 페이지 (CVE-2018-8174)- https://portal.msrc.microsoft.com/ko-kr/security-guidance/advisory/CVE-2018-8174 01. 요약1) CVE-2018-8174 개요 CVE-2018-8174 취약점은 VBScript엔진의 Use After Free 발생으로 인한 객체 재사용으로 발생한다. 원격 실행이 가능한 취약점이며, 영향받는 버전은 Internet explorer8, In.. 2018. 11. 26.
GandCrab 랜섬웨어 유포에 사용되는 이메일 주소 (사전예방) 안랩 ASEC은 11월 15일부터 국내에 유포되는 이력서 사칭 메일관련하여 아래의 글을 게시하였다.- http://asec.ahnlab.com/1178 (이력서를 가장하여 유포중인 GandCrab 랜섬웨어 (2018.11.15)) 당시 공격자가 사용하는 발신자 메일주소는 아래의 사이트를 통해 확인 가능하며, "mshuherk@gmail.com" 메일주소를 갖는 사용자에 의해 등록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https://domainbigdata.com/gmail.com/mj/AizKbe0W3X_QZVcjg5-C9Q ASEC블로그를 통한 최초 공개 당시에는 11월 10일자에 생성한 도메인까지만 확인되었으나, 이후 11월 16일과 19일에도 새로운 도메인이 등록된 것을 알 수 있다. 11월 16일과 19일에.. 2018. 11. 23.
[주의] EPS 파일을 이용한 악성 한글 HWP 문서 | 업데이트 필수 우리나라 주요 공공기관과 기업 등 국내 많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한글과컴퓨터'의 한글 워드프로세서를 대상으로 하는 악성 문서파일(*.HWP)이 꾸준히 제작 및 유포되고 있다. 안랩 분석팀은 2016년부터 2018년 말 현재까지 접수되었던 악성 한글 파일의 상당수가 EPS를 이용하여 악성 기능을 수행한 것을 확인하였다. 여기에서 EPS(Encapsulated PostScript) 파일이란 일종의 그래픽 파일 형식으로서, 어도비(Adobe)에서 만든 포스트스크립트(PostScript)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여 그래픽 이미지를 표현하는 파일이다. EPS를 통해 각종 고화질 벡터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어 한글 프로그램에서는 문서에 EPS 이미지를 포함하거나 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EPS.. 2018. 11. 22.
V3 Uninstall 기능을 제거하여 유포되는 GandCrab v5.0.4 현재 자바스크립트 형태(*.js) 로 국내에 유포 중인 GandCrab 의 유포 스크립트 에서 V3 제품 제거와 관련된 코드가 지속적으로 변화 하였는데, 11월 6일 V3 Lite Uninstall 프로그램에 캡차 코드 적용으로 인하여 더 이상 삭제가 불가능 해지자 V3 제품 Uninstall 기능을 제거한 스크립트의 유포가 확인 되었다. [ 그림 1. Captcha 코드가 적용된 Uninstall 프로그램 ] 변경된 스크립트에서는 %appdata% 경로에 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powershell로 로드하는 방식으로 GandCrab을 실행했다. [ 그림 2. 변경된 GandCrab 유포 스크립트 ] 이로 인해 실행되는 Gandcrab의 버전은 v5.0.4 로 이전 유포되던 GandCrab과 동일 하였다... 2018. 11.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