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악성코드 정보1153

다양한 형태로 유포되는 CLOP 랜섬웨어 자사에서는 그간 Ammyy 백도어의 유포 과정과, Ammyy 백도어와 CLOP 랜섬웨어가 같은 인증서를 사용하는 점들을 블로그에 언급해왔다. 이를 총 정리하여 유포 단에서 마지막 랜섬웨어까지의 유포를 정리하고자 한다. 아래 보이는 [그림1]은 전반적인 구조를 표현한 것으로, 한눈에 보아도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1] – 흐름 구조도 올해 2월 초부터 메일에 악성 문서를 첨부하여 유포되었는데, 지난 5월 30일 자사 블로그(https://asec.ahnlab.com/1234)에 언급되었던 것처럼 국세청을 사칭한 메일을 시작으로 실행을 유도하는 내용과 함께 문서가 아닌 HTML파일이 첨부되어 유포됨을 확인하였다. 위 [그림1]과 같이 하나의 단계가 가장 앞 단에 추가된 셈이다. HTML.. 2019. 6. 27.
유효한 디지털 인증서로 서명된 악성 파일 증가 발급 대상의 신원 정보를 바탕으로 신뢰도를 높이고 무결성을 확보하기 위해 파일에 디지털 서명을 하는 과정을 코드 서명(Code Signing)이라고 한다. 파일 제작자는 공인된 인증기관(CA, Certificate Authority)을 통해 디지털 인증서(Digital Certificate)를 발급받고, 제작한 파일을 해당 인증서로 서명한다. 코드 서명이 된 파일은 기관을 통해 인증받은 파일이기 때문에 웹 브라우저의 다운로드 검증 단계나 파일 실행 단계에서 백신 제품의 탐지를 회피하기 쉽다. 이 때문에 악성코드 공격자들은 파일에 유효한 디지털 서명(Digital Signature) 정보를 추가하여 유포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시도는 이미 2010년 스턱스넷(Stuxnet) 등 과거부터 꾸준히 확인되었다. .. 2019. 6. 4.
파일리스 형태의 매그니베르 랜섬웨어 사전방어 (V3 행위탐지) 작년(2018년) 안랩 분석팀에서 제작한 매그니베르(Magniber) 복구툴 배포 이후, 매그니베르는 파일리스(Fileless) 형태로 복구가 불가능하게 변경되었다. Fileless 형태로 유포 중인 매그니베르는 행위탐지를 우회하고, 성공적인 파일 암호화를 위하여 (감염 시스템의)권한이 있는 불특정 프로세스에 무차별 인젝션을 수행하게 진화하였다. 이러한 기법을 통해 랜섬웨어 행위의 주체가 감염 시스템의 실행 중인 정상 프로세스가 되고,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해도 다른 프로세스에 의해 랜섬웨어 행위가 재 실행되는 구조로 감염 후에는 차단을 어렵게 한다. 참고(1): 인젝션 대상 변경 정보 (https://asec.ahnlab.com/1137) Anti-Virus 제품이 단순히 랜섬웨어 행위(파일 암호화)를 .. 2019. 5. 31.
[주의] 국세청 사칭 악성 메일 대량 유포 (Ammyy, CLOP) 2019년 5월 30일 오전 국세청을 사칭한 국내 기업 타겟 악성코드가 대량 유포되어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국세청 세금계산서로 위장하여 스팸 메일이 발송되었고, 첨부 된 .html 파일은 악성 엑셀 파일(xls)을 다운로드 하는 기능이 있다. 기존에는 메일에 xls파일을 첨부하여 유포하였다면, 이번엔 스크립트(html)를 첨부해 이를 통해 xls 을 다운로드 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첨부된 html 파일을 열게 되면 [그림 2]에 있는 url을 통해 악성 xls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면 기존에 분석 된 내용과 동일한 백도어 AmmyyRat 파일을 다운받게 된다. 매크로를 포함한 상세 분석은 이 전 글을 참고하기 바란다. 2019/05/29 - [악성코드 정보] - [주의]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대량.. 2019. 5. 30.
[주의]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대량 유포되는 엑셀 파일 분석 - Ammyy 원격제어 백도어와 Clop 랜섬웨어 유포 최근 국내에서 가장 이슈가 되는 타겟형 공격은 기업을 대상으로 유포되고 있는 Ammyy 원격제어 백도어와 이를 통해 설치되는 Clop 랜섬웨어이다. 백도어 파일은 온라인에 공개되어 있는 Ammyy 원격제어 프로그램의 소스를 이용하여 제작되었고, 이를 공격 대상 PC에 심어 놓은 후 원격으로 시스템에 접근한다. 공격자가 장악한 시스템에서 최종 실행하고자 하는 악성 파일은 Clop 랜섬웨어이다. 특징적으로 이 공격은 유포과정에서 공격 대상 PC가 도메인 컨트롤러를 이용하고 있는 AD(Active Directory) 서비스 구조에 있는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맞을 경우에만 이후 전파 과정을 진행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자를 도메인으로 구성해서 시스템을 운영하는 기업을 공격 대상으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 2019. 5. 29.
'AhnLab' 폴더를 암호화에서 제외하는 Maze 랜섬웨어 안랩 ASEC은 지난 5월 24일 국내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유포 중인 Maze Ransomware를 발견하였다. 자사의 악성코드 위협 분석 및 클라우드 진단 시스템인 ASD(AhnLab Smart Defense)를 통해 확인된 결과 해당 랜섬웨어는 PowerShell을 이용하여 다운로드되고 Fallout EK 에 의해 유포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암호화가 되면 확장자는 여러가지의 랜덤한 문자열로 변경되고 DECRYPT-FILES.html 파일을 생성한다. 암호화가 끝나면 바탕화면을 변경하여 RSA-2048 과 ChaCha 알고리즘을 암호화에 사용했다는 것을 알린다. 또한, 암호화 과정에서 폴더명이 “AhnLab” 일 경우 해당 폴더의 내부 파일들은 암호화에서 제외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암호화에서 제외되는.. 2019. 5. 29.
V3Lite 사용여부에 따라 차별화된 실행방식 사용하는 BlueCrab(갠드크랩 후속) 최근 새롭게 등장한 블루크랩 랜섬웨어는 기존 갠드크랩 랜섬웨어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유포되고 있다. 유포 방법에는 악성 문서를 포함한 피싱 이메일, 유틸리티 피싱 다운로드 페이지 등이 해당된다. 안랩 ASEC은 유틸리티를 위장한 자바스크립트의 유포 코드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그림 1]과 같은 유틸리티 피싱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다운로드된 자바스크립트 파일(.js)은 실행 시 블루크랩 랜섬웨어가 실행된다. 현시점에 자바스크립트의 실행 흐름은 [그림 2]와 같으며, Powershell.exe에 블루크랩 랜섬웨어가 인젝션 되어 암호화 행위가 수행된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V3Lite 사용자를 대상으로 차별화된 실행방식이 사용된다는 점이다. 자사 제품은 블루크랩 랜섬웨어가 사용하는 특정 UAC(사용자 계정 컨.. 2019. 5. 17.
국내 사용자 대상 신종 랜섬웨어 확인 (.kname 확장자) 안랩 ASEC은 지난 5월 13일 자사의 악성코드 위협 분석 및 클라우드 진단 시스템인 ASD(AhnLab Smart Defense)를 통해 새로운 랜섬웨어가 국내로 유포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직 알려지지 않은 이 랜섬웨어는 암호화 후 확장자를 .kname으로 변경하는 특징을 갖고 있으며, AhnLab 폴더를 암호화 제외 대상으로 하는 등 국내 사용자 환경을 타겟하여 유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ASD를 통해 확인된 결과 랜섬웨어 파일은 윈도우 정상 시스템 파일인 "regsvr32.exe" 를 통해 다운로드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운로드 주소: http://86.106.102.162/k/kname.png 암호화 대상 확장자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고, 아래의 암호화 제외 대상만 존재하는 특징을 .. 2019. 5.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