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발생하는 APT(Advanced Persistent Threat)와 같은 보안 사고들에서는 기업 내부 네트워크로 메일이나 메신저(Messenger),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을 이용해 백도어(Backdoor) 기능을 수행하는 악성코드를 전달하여 감염을 시도한다.
이 번에 발견된 해당 웹 사이트에서 35개의 안티 바이러스 제품들의 검사가 가능하며 1회 검사에 1 센트이며 20 달러(한화 약 22,000원)를 지불할 경우에는 500회까지 검사가 가능하다고 광고 중 이다.
해당 웹 사이트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해당 웹 사이트는 다시 아래 러시아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러시아어로 제작된 아래 웹 사이트 역시 35개의 안티 바이러스 소프트웨어를 검사가 가능하며 그 중에는 안랩의 V3 Internet Security 8.0도 포함이 되어 있었다. 그리고 1회 사용에는 15 센트, 한 달 사용에는 25 달러(한화 약 27,500원)라고 공개하고 있다.
이 외에도 악성코드를 유포하기 위한 웹 사이트가 보안 업체들의 블랙 리스트(BlackList)에 포함되어 있는가를 확인하는 기능과 별도의 사설 VPN(Virtual Private Network)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웹 사이트들에서는 공통적으로 검사되는 파일들에 대해서 보안 업체들로 전달 되지 않는다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악성코드 제작자 등이 악성코드를 유포하기 전에 사전에 테스트 할 수 있어 특정 보안 소프트웨어에서 진단이 될 경우, 악성코드를 다시 제작하여 감염의 가능성을 더 높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고 있다.
결국 블랙 마켓(Black Macket)에서 제공되는 이러한 서비스들로 인해 악성코드 제작자는 감염 성공율이 높은 악성코드를 제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보안 사고 역시 증가 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악순환이 발생하게 되다.
이렇게 전달 되는 악성코드들 대부분은 공격자에 의해 사전에 안티 바이러스(Anti-Virus) 소프트웨어에 의해 진단이 되는지 테스트 과정을 거쳐 공격 성공율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테스트의 과정은 최근 러시아에서 발견된 아래와 같은 프라이빗 AV 체커(Private AV Checker) 웹 사이트를 통해 진행되며 모두 금전적인 댓가를 지불하게 된다.
이 번에 발견된 해당 웹 사이트에서 35개의 안티 바이러스 제품들의 검사가 가능하며 1회 검사에 1 센트이며 20 달러(한화 약 22,000원)를 지불할 경우에는 500회까지 검사가 가능하다고 광고 중 이다.
해당 웹 사이트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해당 웹 사이트는 다시 아래 러시아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러시아어로 제작된 아래 웹 사이트 역시 35개의 안티 바이러스 소프트웨어를 검사가 가능하며 그 중에는 안랩의 V3 Internet Security 8.0도 포함이 되어 있었다. 그리고 1회 사용에는 15 센트, 한 달 사용에는 25 달러(한화 약 27,500원)라고 공개하고 있다.
이 외에도 악성코드를 유포하기 위한 웹 사이트가 보안 업체들의 블랙 리스트(BlackList)에 포함되어 있는가를 확인하는 기능과 별도의 사설 VPN(Virtual Private Network)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웹 사이트들에서는 공통적으로 검사되는 파일들에 대해서 보안 업체들로 전달 되지 않는다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악성코드 제작자 등이 악성코드를 유포하기 전에 사전에 테스트 할 수 있어 특정 보안 소프트웨어에서 진단이 될 경우, 악성코드를 다시 제작하여 감염의 가능성을 더 높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고 있다.
결국 블랙 마켓(Black Macket)에서 제공되는 이러한 서비스들로 인해 악성코드 제작자는 감염 성공율이 높은 악성코드를 제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보안 사고 역시 증가 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악순환이 발생하게 되다.
'악성코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연예인 사생활 동영상으로 위장한 악성코드 유포 (0) | 2011.12.09 |
---|---|
Adobe Acrobat CVE-2011-2462 제로 데이 취약점을 악용한 타겟 공격 (1) | 2011.12.08 |
2012년 버전으로 위장한 허위 클라우드 백신 (0) | 2011.12.02 |
유럽을 타겟으로 제작된 안드로이드 악성 어플리케이션 (0) | 2011.11.29 |
배너광고를 통한 악성코드 유포사례 (3) | 2011.11.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