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ns11

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3 Vol.46 발간 안랩 ASEC에서 2013년 10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3 Vol.46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3년 10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악성코드 이슈IE 취약점(MS13-080) 주의보!웹하드 사이트에서 유포된 백도어 악성코드 발견반복 감염 유발하는 USB 악성코드 발견일반 사용자에게도 유포된 이력서 첨부 파일화면보호기 확장자(.scr)를 이용한 악성 파일 2) 모바일 악성코드 이슈모바일 메신저 피싱 앱 설치하는 악성 앱 등장암호화된 안드로이드 악성코드의 등장공공기관 및 기업 사칭 스미싱 증가 3) 보안 이슈스팸 메일을 발송하는 다리미?PHP.net 해킹으로 인한 악성코드 유포DNS.. 2014. 1. 10.
주요 정부기관 DNS 서버 대상으로 DNS 증폭 DDoS 공격 6월 25일 주요 정부 기관을 대상으로 한 DDoS(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공격이 발생한 이후 새로운 형태의 DDoS 공격 형태가 6월 27일 추가 발견되었다. 이번 발견된 DDoS 공격 형태는 다수의 PC에서 ANY를 요청하던 방식에서, DNS ANY Query를 요청하는 것으로 위장(IP Spoofing) 한 후 ripe.net의 ANY 레코드의 결과를 Open Resolver(Reflector, 일종의 중계 DNS 서버)를 통해 정부 종합 센터의 네임 서버(Name Server)로 전송되도록 하는 전형적인 DNS 증폭 DDoS 공격 (DNS Amplification DDoS Attack) 형태이다. 1. 공격 과정 악성코드에 감염된 다수의 PC에서 IP Spoofin.. 2013. 6. 27.
웹 사이트 접속만으로도 디도스 공격 발생시키는 공격방식 확인 - 청와대, 국정원, 새누리당 사이트는 악성 스크립트 방식의 새로운 디도스 공격 받아 - 정부통합전산센터는 좀비PC방식의 기존 디도스 방식 공격 받아 안랩[대표 김홍선 www.ahnlab.com]은 25일 일부 정부기관을 공격한 디도스[DDoS: 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에 대한 분석내용을 추가 발표했다. 안랩은 이번 정부기관에 대한 디도스 공격은 악성스크립트를 이용한 새로운 방식과, 악성코드에 감염된 좀비PC를 이용하는 기존 디도스 공격 방식이 혼재되어 있다고 밝혔다. 안랩은 청와대, 국정원과 새누리당 웹 사이트는 ‘악성스크립트 방식’의 디도스 공격을 받았고, 이는 국가적 대형 디도스 공격에 처음으로 사용된 기법이라고 밝혔다. 또한 안랩은 정부통합전.. 2013. 6. 26.
6.25 DDoS 공격에 사용된 악성코드 상세 분석 6월 25일 오전 10시에 일부 정부 기관 홈페이지를 대상으로 DDoS(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공격을 수행하도록 제작된 악성코드가 발견되었다. ASEC에서는 해당 DDoS 공격 수행 기능을 가진 악성코드들을 신속하게 확보하여 상세한 분석을 진행 중에 있다. 현재까지 분석된 정보들은 아래와 같으며, 추가적으로 분석된 정보들은 ASEC 블로그를 통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할 예정이다. [업데이트 히스토리]1) 2013.06.25 - 6.25 DDoS 공격에 사용된 악성코드 상세 분석 내용 최초 작성2) 2013.06.26 - 6.25 DDoS 공격에 사용된 악성 스크립트 상세 분석 내용 추가 1. 공격 시나리오 특정 웹하드 업체(www.simdisk.co.kr)의 설치 파일(R.. 2013. 6. 25.
악성코드 감염으로 알려진 일본 재무성 침해 사고 2012년 7월 21일 일본 국내 언론들을 통해 "Finance Ministry reveals 2010-2011 computer virus; info leak feared" 일본 재무성에서 2010년에서 2011년 2년 사이에 감염된 악성코드가 발견되었으며, 이로 인해 내부 정보가 유출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는 기사가 공개 되었다. ASEC에서는 해당 침해 사고와 관련한 추가적인 정보와 관련 악성코드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해당 침해 사고와 관련된 악성코드를 확보하게 되었으며, 해당 악성코드는 약 1년 전인 2011년 9월 경에 발견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번에 파악된 악성코드가 실행되면 해당 파일이 실행된 동일한 경로에 다음 파일을 생성하고, 정상 시스템 프로세스인 explorer.exe에 스레드로 인.. 2012. 8. 21.
DNS Changer 감염으로 인한 인터넷 접속장애 주의 DNS Changer는 2005년경 해외에서 처음 발견된 악성코드로 2011년 제작자가 체포되기 전까지 다양한 변형들이 유포되어 감염 피해를 유발했다. 이 악성코드의 특징은 감염된 시스템의 네트워크 설정 중 dns 서버 IP를 제작자가 운영하는 것으로 변경하는 것이다. DNS 서버의 IP를 변조하는 것은 DNS Changer 이외에도 다른 여러 악성코드들이나 파밍과 같은 사기 수법 등 다양한 형태의 공격 방식에서 사용되고 있다. DNS 서버의 IP를 제작자가 의도한 것으로 변경하면 웹 브라우저를 이용해 정상 웹 사이트의 도메인에 접속할 때 제작자가 의도한 사이트로 접속을 하도록 쉽게 조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악성코드를 제거하더라도 사용자가 dns가 변경된 것을 인지 하지 못하는 경우 이로 인해 다시 감.. 2012. 7. 9.
XML 코어 서비스 취약점(CVE-2012-1889) 악용 증가 현지 시각으로 6월 12일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는 XML 코어 서비스(Core Services)에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 Day, 0-Day) 취약점이 발견되었음을 보안 권고문 "Microsoft Security Advisory (2719615) Vulnerability in Microsoft XML Core Services Could Allow Remote Code Execution"을 통해 공개한 바가 있다. 해당 취약점은 공격자가 지정한 임의 코드를 실행 할 수 있는 코드 실행 취약점이며, 해당 XML 코어 서비스를 사용하는 윈도우(Windows) 운영체제와 오피스(Office) 2003과 2007 버전에서 악용이 가능하다. 해당 취약점은 현재까지도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보안.. 2012. 6. 26.
마이크로소프트 2012년 3월 보안 패치 배포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2012년 2월 한달 동안 해당 업체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에서 발견된 보안 취약점들을 제거하기 위해 보안 패치를 2012년 3월 14일 배포하였다. 이번에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배포된 보안 패치들은 총 6건으로 다음과 같다.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17 - 중요 DNS 서버의 취약점으로 인한 서비스 거부 문제점 (2647170)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18 - 중요 Windows 커널 모드 드라이버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 (2641653)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19 - 보통 DirectWrite의 취약점으로 인한 서비스 거부 문제점 (266536.. 2012. 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