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애드웨어5

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1 Vol.24 발간 안철수연구소 ASEC에서 2011년 12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1 Vol.24을 발간하였다. 그리고 이번 호에서는 2011년 주요 보안 위협 이슈와 함게 2012년에 예상되는 보안 위협도 같이 포함되어 있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1년 12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김정일 위원장 사망을 이용한 애드웨어 유포 김정일 위원장 사망을 악용한 악성 전자 문서 파일 유포 국내 연예인 사생활 동영상으로 위장한 악성코드 유포 2012년 버전으로 위장한 허위 클라우드 백신 악성코드를 위한 안티바이러스 체크 웹 사이트 아크로뱃 제로데이 취약점을 악용한 타깃 공격 여러 가지 취약점을 이용한 제우스봇 전파 메일 발.. 2012. 1. 17.
김정일 위원장 사망을 악용한 악성 전자 문서 파일 유포 2011년 12월 20일 ASEC에서는 북한의 김정일 위원장의 사망을 악용한 애드웨어 유포를 알린지 얼마 되지 않아 해외 보안 업체인 트렌드 마이크로(Trend Micro)에서는 블로그 "Kim Jong Il Malicious Spam Found"를 통해 전자 메일의 첨부 파일로 취약점이 존재하는 전자 문서 파일이 유포 된 것을 공개하였다. 트렌드 마이크로에서 블로그를 통해 공개한 취약한 전자 문서 파일이 첨부된 전자 메일은 다음의 이미지와 동일한 형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공개 하였다. 해당 전자 메일에 첨부된 어도비 아크로뱃 리더(Adobe Acrobat Reader) 파일은 CVE-2010-2883 취약점과 함께 아래 이미지처럼 파일 내부에는 2011년 4월에 발견된 CVE-2011-0611 취약점.. 2011. 12. 21.
김정일 위원장 사망을 악용한 애드웨어 유포 시도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는 유명 인사들의 사망 등을 악용하는 사회 공학(Social Engineering) 기법으로 악성코드가 유포되는 사례는 과거에도 지속적으로 발견되었다. 이러한 사례들로는 2011년에만 5월 테러 조직인 알카에다의 지도자인 오사마 빈 라덴(Osama Bin Laden) 사망 소식과 10월 애플(Apple) CEO인 스티브 잡스(Steve Jobs)의 사망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사례들이 있었다. 2011년 12월 19일 북한의 방송을 통해 김정일 위원장의 사망 소식이 전 세계에 알려진지 만 하루가 지난 금일 김정일 위원장의 사망을 악용한 애드웨어 유포가 사례가 발견되었다. 해당 애드웨어는 아래 이미지와 같은 유명 동영상 관련 웹 사이트 유튜브(You Tube)를 통해 김정일 위원장의 사.. 2011. 12. 20.
국내 연예인 사생활 동영상으로 위장한 악성코드 유포 최근 국내 유명 연예인인 A양을 촬영한 것으로 알려진 사생활 동영상이 유포되어 사회적으로 큰 이슈를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인 큰 이슈를 악용하여 2011년 12월 8일 저녁 국내에서도 많은 사용자가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인 트위터(Twitter) 등을 통해 해당 연예인의 사생활 동영상으로 위장한 악성코드가 유포 되었다. 해당 트위터 계정은 비교적 최근에 생성한 것으로 보여지며, 해당 계정의 사용자에 대해 자세한 사항들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다른 일반적인 내용 없이 위 이미지와 같이 유명 연예인의 동영상 파일로 위장한 ZIP 압축 파일을 다운로드하도록만 유도하고 있다. 해당 URL을 복사하여 웹 브라우저에서 다운로드를 시도하게 되면 아래 이미지와.. 2011. 12. 9.
Suspicious BHO 진단명 해결 방법 BHO는 (Browser Helper Object) Internet Explorer 의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는데 사용됩니다. 스파이웨어는 BHO를 이용하여 DLL 형태로 IE에 의하여 실행되기 때문에 윈도우 작업관리자에서 확인이 되지 않으며 Internet Explorer 7.0 기준으로 [도구]-[추가 기능 관리] 옵션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스파이웨어나 애드웨어는 BHO를 이용하여 시작페이지를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페이지로 변경을 하거나 광고 등을 띄우며 또한 시스템 장애나 Internet Explorer 오류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아래 그림은 안리포트에서 BHO를 확인할 수 있는 그림입니다. 상기의 그림에서처럼 BHO로 등록된 스파이웨어가 V3에서 진단이 될 경우 "Suspicious .. 2009. 9.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