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택3

어도비 플래쉬 플레이어 CVE-2013-0633 및 CVE-2013-0634 취약점 악용 어도비(Adobe)에서는 현지 시각으로 2월 7일 어도비 플래쉬 플레이어(Adobe Flash Player)에 존재하는 취약점인 CVE-2013-0633 및 CVE-2013-0634를 제거하기 위한 보안 패치를 배포 중임을 보안 권고문 "APSB13-04 Security updates available for Adobe Flash Player"를 통해 밝혔다. 이 번에 발견된 2개의 어도비 플래쉬 플레이어 취약점은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Day, 0-Day) 취약점이었다. 해당 제로 데이 취약점들은 특정 대상으로 상대로한 타깃 공격(Targeted Attack)과 웹 사이트를 통해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는 플래쉬 파일(SWF)를 유포하는 것으로 공개되었다. 어도비에서는 해당 취약점들에 영.. 2013. 2. 13.
취약점을 악용하지 않는 한글 파일 악성코드 ASEC에서는 그 동안 한글과 컴퓨터에서 개발하는 한글 워드프로세스에 존재하는 알려진 코드 실행 취약점을 악용하는 취약한 한글 파일들이 유포된 사례들 다수를 공개하였다. 유포되었던 취약한 한글 파일들 대부분은 아래 3가지 형태의 취약점을 가장 많이 악용하여 백도어 형태의 악성코드 감염을 시도하였다. 1. HncTextArt_hplg에 존재하는 스택(Stack)의 경계를 체크하지 않아 발생하는 버퍼 오버플로우(Buffer Overflow)로 인한 임의의 코드 실행 취약점 2. HncApp.dll에 존재하는 문단 정보를 파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버퍼 오버플로우로 인한 임의의 코드 실행 취약점 3. EtcDocGroup.DFT에 존재하는 버퍼 오버플로우로 인한 임의의 코드 실행 취약점 그러나 9월 10일과 .. 2012. 9. 13.
알려진 한글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ASEC에서는 6월 15일 한글과 컴퓨터에서 개발한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코드 실행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사례가 발견되었음을 공개하였다. 현재 해당 코드 실행 취약점에 대해서는 6월 22일 한글과 컴퓨터에서는 해당 취약점을 제거할 수 있는 보안 패치를 공개하여, 해당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감염 시도에 대해서는 원천적인 차단이 가능하다. 금일 다시 국내에서 알려진 한글 소프트웨어의 취약점을 악용하여 악성코드 감염을 시도한 사례가 발견되었다. 이 번에 유포된 취약한 한글 파일들은 국내 특정 조직들을 대상으로 발송된 이메일의 첨부 파일 형태로 유포되었으며, 첨부된 취약한 한글 파일들을 열게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은 내용이 보여진다. 해당 취약한 파일은 아래 이미지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으며, .. 2012. 6.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