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악성코드 정보1153

MS11-073 워드 취약점을 악용한 타겟 공격 발생 2012년 2월 10일 미국 보안 업체인 시만텍(Symantec)에서는 블로그 "New Targeted Attack Using Office Exploit Found In The Wild"을 통해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2011년 9월 공개한 보안 패치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1-073 Microsoft Office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587634)" 취약점을 악용한 타겟 공격(Targeted Attack)을 발견되었음 공개하였다. 해당 MS11-073 취약점을 악용한 타겟 공격은 이메일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ZIP으로 압축된 첨부 파일에는 아래 이미지와 같이 취약한 워드(Word) 파일과 fputlsat.dll(126,976 바이트).. 2012. 2. 10.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중동 상륙 1. 개 요 최근 안드로이드기반의 스마트폰이 전세계적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중동의 이스라엘을 겨냥한 call 과금형 악성코드가 발견되어 분석 내용을 공유한다. 2. 분 석 해당 악성코드는 구글 안드로이드마켓에서 발견되었으며, "Voice Changer Israel" 이라는 어플리케이션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이 어플리케이션은 제목 그대로 음성을 변조하여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 어플리케이션으로 위장하고 있다. [fig. app icon] 아래의 실행화면을 보면 전화번호 입력란과 전화통화시 세가지의 목소리를 선택할 수 있고, 아래의 통화버튼 밑에 1분당 6 NIS(약 1.6달러) 가 과금 된다는 안내문이 표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실행 화면] 코드를 살펴보면, 아래와.. 2012. 2. 8.
변형된 MS12-004 취약점 악용 스크립트 발견 ASEC에서는 1월 27일 MS12-004 윈도우 미디어 취약점(CVE-2012-0003)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가 발견되었으며,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1월 11일 배포한 보안 패치로 해당 취약점을 제거 할 수 있음을 공개하였다. 그리고 해당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는 한국과 중국을 포함한 극동 아시아 권을 주된 대상으로 유포된 것으로 분석하였으며, 최종적으로는 온라인 게임 관련 정보들을 탈취하기 위한 것음을 밝힌 바가 있다. 2월 2일 국내 웹 사이트에서 Heap Feng Shui라는 기법을 이용해 제작된 새로운 형태의 MS12-004 취약점 악용 스크립트 악성코드 변형이 발견되었다. 이 번에 새롭게 발견된 해당 스크립트 악성코드는 ASEC에서 추가적인 조사 과정에서 1월 30일 경에 .. 2012. 2. 6.
wshtcpip.dll 파일을 변경하는 온라인게임핵 발견 온라인게임 사용자의 아이템과 사이버머니 탈취를 목적으로 하는 온라인게임핵이 교체하는 파일이 변경되었다. 지금까지 해당 악성코드가 변경시킨 윈도우 주요 구성파일은 imm32.dll, comres.dll, lpk.dll, ws2help.dll, version.dll 등이었으며, 작년 하반기부터 ws2help.dll를 악성코드로 교체하는 유형이 가장 많이 발견되었다. 지금도 ws2help.dll을 대상으로 하는 악성코드도 많이 발견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악성코드들은, 출현한지 오래되면 보안업체에서 대응하는 능력이 향상됨에 따라 감염 PC의 수가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악성코드 제작자들은 새로운 감염 대상을 물색하게 되는데, 이번에 발견된 wshtcpip.dll 파일을 교체하는 경우가 이러한 유형에 해당.. 2012. 2. 6.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윈도우 악성코드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윈도우(Windows) 운영체제와 리눅스(Linux) 운영체제에서 모두 감염되어 동작하는 악성코드를 제작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많은 사항들을 고려해야 되는 문제임으로 쉽지 않은 사항이다. 특히나 모바일(Mobile) 운영체제와 일반 윈도우 PC 모두에 감염되어 동작하는 악성코드를 제작하기라는 것은 더욱 쉽지 않은 사항이다. 2012년 2월 3일 ASEC에서는 하루동안 전세계에서 수집되어 분석되었던 안드로이드(Android) 어플리케이션들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특이하게 특정 어플리케이션 내부에 윈도우 악성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번에 발견된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은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아래 이미지의 붉은색 박스로 표기한 스크립트 파일인 about_habi.. 2012. 2. 3.
MS12-004 윈도우 미디어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2012년 1월 27일 금일 트렌드 마이크로(Trend Micro) 블로그 "Malware Leveraging MIDI Remote Code Execution Vulnerability Found"를 통해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1월 11일 배포하였던 보안 패치인 "MS12-004 Windows Media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636391)"와 관련된 취약점(CVE-2012-0003)을 악용하여 유포된 악성코드가 발견되었다. 해당 MS12-004 취약점을 악용하여 유포된 악성코드와 관련된 사항들을 ASEC에서 추가적인 조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해당 악성코드는 아래와 같은 전체적이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악성코드 감염의 근본적인 시작이 되는 mp.html.. 2012. 1. 27.
단축 URL을 이용해 트위터로 유포 중인 피싱 웹사이트 2012년 1월 26일 해외를 중심으로 유명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인 트위터(Twitter)의 메시지를 통해 트위터 사용자 계정과 암호를 수집하기 위한 용도의 피싱(Phishing) 시도가 발견되었다. 이 번에 발견된 트위터에서 피싱 시도는 처음으로 있는 일이 아니며 2010년 2월 24일 트위터의 다이렉트 메시지(Direct Message)의 단축 URL(URL Shortening)을 이용해 피싱 웹 사이트로 접속을 유도한 사례가 있다. 금일 발견된 트위터에서의 피싱 웹 사이트로 접속을 유도하는 방식은 기존과 동일하게 단축 URL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호기심을 가질만한 내용으로 위장하고 있다. 해당 트위터 메시지에 포함된 단축 URL을 클릭하게 되면 아래 이미지와.. 2012. 1. 26.
스페이스와 탭을 이용한 자바스크립트 난독화 출현 자바스크립트 소스를 이용하여 악성코드를 심는 방법은 일반화 된지 오래 되었다. 특히 악성코드 제작자들은 자바스크립트 소스를 분석하기 어렵게 만들기 위한 난독화 과정을 거쳐, 백신제품의 엔진에 반영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주로 문자열 인코딩 방식을 ASCII 코드가 아닌 다른 방식을 이용하여 알아보기 힘들게 만들었다. 그러나 이번에 새롭게 등장한 방식은 이러한 틀에서 벗어난 방식이다. 화면에 난독화 코드로 보이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고, 다만 커다란 빈 공간이 많이 보인다. 보기에는 공백으로 보이지만 실제 커서 위치시켜 이동시켜 보면 스페이스와 탭이 섞여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한 확인을 위해 HEX 값을 확인해 보면 그림 2와 같음을 확인할 수 있다. 스페이스와 탭의 아스키 코드 .. 2012. 1.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