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악성코드 정보1153

어도비 플래쉬 CVE-2012-0754 취약점 악용한 문서 파일들 발견 최근 발견되고 있는 타겟 공격(Targeted Attack) 이나 APT(Advanced Persistent Threat) 형태의 공격들에서는 공통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Microsoft Office), 어도비 리더(Adobe Reader) 그리고 한글 프로그램과 같은 전자 문서 파일에 존재하는 취약점들을 악용하는 사례가 자주 발견되고 있다. 그 중에서 특히 어도비 리더와 어도비 플래쉬(Adobe Flash)에 존재하는 취약점들을 악용하여 원격 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는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사례가 자주 발견되고 있다. 금일 해외에서 어도비 플래쉬에 존재하는 CVE-2012-0754 취약점을 악용하는 마이크로소프트 워드(Microsoft) 파일 또는 엑셀(Excel) 파일을 이용한 타겟 공격이 발견되었.. 2012. 3. 6.
시리아 반정부군을 감시하기 위한 악성코드 유포 2월 17일 해외 언론인 CNN의 기사 "Computer spyware is newest weapon in Syrian conflict"를 통해 시리아 정부에서 반정부군의 동향을 수집하고 감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악성코드를 유포하였다 내용이 공개되었다. 이 번에 알려진 해당 악성코드는 현재까지 ASEC에서 파악한 바로는 특정인들을 대상으로 이메일의 첨부 파일로 전송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 메일에 첨부된 해당 악성코드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RARSfx로 압축되어 있으며, 파일 내부에는 아래 이미지와 같이 백도어 기능을 수행하는 svhost.exe(69,632 바이트)와 정상 이미지 파일인 20111221090.jpg(114,841 바이트)가 포함되어 있다. 해당 RARSfx로 압축된 파일을 실행하.. 2012. 3. 5.
국내 패스트푸드 업체를 위장한 파일 유출 악성코드 국내 패스트푸드 업체를 위장한 홍보 메일에 악성코드 다운로드 링크가 포함되어 유포되는 것이 발견되었다. 메일 분문에는 업체 홍보 내용과 악성코드 유포 URL이 포함되어 있고, ‘프리미엄 환불 서비스’라는 호기심을 유발하는 내용과 국내 사이트라는 점을 간과해서 무의식적으로 해당 링크를 클릭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그림 1. 악성코드 유포 메일 원문 메일 본문에 포함되어 있는 링크(hxxp://www.t******.kr/mail/***_Service01.html)를 클릭하면 Java applet이 실행되면서 보안 경고창(그림 3)이 나타나는데, 이때 실행을 클릭하면 악성 파일(hxxp://www.t******.kr/mail/xyz.exe)을 다운로드 받아 실행하고 국내 유명 패스트푸드 사이트로 리다이렉.. 2012. 3. 4.
스마트폰의 문자 메시지로 전달된 단축 URL 스마트폰의 사용이 많아지고 이를 이용한 다양한 네트워크 활동들이 보편화가 됨에 따라 이와 관련한 다양한 형태의 보안 위협들을 계속 발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가장 큰 보안 위협 이슈로는 안드로이드(Android) 운영체제에 감염되는 악성코드들을 들 수 있으다. 이 외에 최근 ASEC에서는 아래 이미지와 같이 무작위로 휴대전화 번호를 선택하여 문자 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를 발송한 것이 확인 되었다. 해당 문자 메시지는 일반적인 스팸성 문자 메시지와는 다르게 메시지 내부에 단축 URL(URL Shortening)을 포함하고 있어, 스마트폰 사용자라면 쉽게 클릭한번 만으로 특정 웹 사이트로 연결되도록 구성한 특징이 있다. 해당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단축 URL은 테스트 당시.. 2012. 2. 29.
누군가 나를 지켜보고 있다면? 웹캠으로 도촬하는 악성코드 발견!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누군가 나를 지켜보고 있다면? 생각만해도 소름 끼치는 일이다. 노트북에 달려있는 카메라나 PC에 연결된 웹캠을 이용하여 감염된 PC의 사용자를 도촬하는 악성코드가 발견되었다. PC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빼내거나, 시스템의 동작을 방해하는 다른 악성코드와는 달리 감염된 PC 사용자의 사생활을 그대로 노출시키는 악성코드이기 때문에 개인의 프라이버시에 커다란 위협이 되는 악성코드이다. 해당 악성코드에 감염될 경우 러시아 URL로 접속하는 특성을 가진 것으로 보아 러시아에서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는 감염된 사례가 발견되지 않아 정확한 감염 경로를 파악하기는 어렵지만, 위치에 관계없이 어디든지 접속 가능한 인터넷의 특성상 해외사이트를 주로 이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각별한 주의가 요구.. 2012. 2. 29.
Windows Vista, 7 사용자를 대상으로 감염시키는 온라인 게임핵 악성코드 발견 최근 Windows Vista, 7 운영체제 사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게임핵을 감염시키는 사례가 확인되어 글을 작성 합니다. 지금까지 기존 온라인 게임핵 감염 대상은 대부분 Windows XP 사용자를 대상이였습니다. 하지만 최근에 발견된 형태는 Windows Vista, 7 사용자도 감염을 시키며, 사용자의 운영체제를 확인 후 운영체제 별로 다른 형태로 감염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1. Windows XP 사용자일 경우 Windows XP 사용자일 경우 기존에 발견된 형태와 마찬가지로 C:\Windows\System32\ws2help.dll 파일이 악성 파일로 변경되는 형태로 확인이 되었습니다. 악성코드에 감염되게 되면 C:\Windows\System32 경로 아래에 ws2helpXP.dll 혹은 .. 2012. 2. 27.
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1 Vol.25 발간 안철수연구소 ASEC에서 2012년 1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1 Vol.25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2년 1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MS12-004 윈도우 미디어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스페이스와 탭을 이용한 자바스크립트 난독화 소스 출현 보안 제품의 업데이트를 방해하는 Hosts 파일 변경 악성코드 주의 내 하드디스크가 타버린다고? 불안심리를 자극하는 Hoax 악성코드 단축 URL을 이용해 트위터로 유포 중인 피싱 웹사이트 악성코드 버그로 인한 “응용 프로그램 초기화 오류”와 BSOD(Hard Disk) 발생 MADDEN NFL 12 로 위장한 악성 애플리케이션 일본 성인.. 2012. 2. 20.
사용자 PC의 문서파일을 탈취하는 악성코드 발견 사용자 PC의 문서파일을 탈취하는 악성코드가 발견되었다. Fedex 관련 메일로 위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악성코드 파일을 실행하도록 하고, 감염되었을 경우 사용자 PC에 존재하는 모든 MS워드 파일(doc, docx)과 엑셀파일(xls, xlsx)을 전송하는 유형이다. 해당 메일은 "Your package is available for pickup.NO#8248"이라는 제목으로 전파되었다. 업무상 영문 메일을 많이 주고 받는 사용자와 Fedex을 이용한 국제 화물 운송을 이용하는 빈도가 잦은 사용자는 감염 확률이 높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국내 개인 사용자의 경우 영어로 된 Fedex 관련 메일은 스팸 메시지로 분류하는 사례가 많기 때문에 감염 위험이 높지 않은 편이지만,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 2012. 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