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악성코드 정보

APT 공격과 관련된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발견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2. 8. 2.

해외 보안 업체인 트렌드 마이크로(Trend Micro)에서는 7월 27일 "Adding Android and Mac OS X Malware to the APT Toolbox" 제목의 문서를 공개하였다.


해당 문서는 2012년 3월 해당 업체에서 공개한 "Luckycat Redux: Inside an APT Campaign" 럭키캣(Luckycat)이라고 명명된 APT 공격 형태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안드로이드(Android) 악성코드에 대해 다루고 있다.


해당 업체에서는 럭키캣 APT 공격과 관련된 특정 C&C 서버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해당 C&C 서버에서 AQS.apk (15,675 바이트)와 testService.apk (17,810 바이트) 2개의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 설치 가능한 APK 파일 2개를 발견하게 되었다고 한다.


ASEC에서는 해당 2개의 AQS.apk (15,675 바이트)와 testService.apk (17,810 바이트) 파일들을 확보하여 자세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2개의 APK 파일들은 모두 동일한 기능을 하도록 제작되었으며, 그 중 testService.apk (17,810 바이트)을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 설치하게 되면 아래 이미지와 동일한 아이콘을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해당 앱을 사용자가 직접 실행시키거나  스마트폰이 사용자에 의해 부팅하게 될 경우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TService 라는 서비스로 실행하게 된다.



해당 서비스는 감염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스마트폰 번호와 저장 장치의 파일 정보들을 수집하여 중국에 위치한 gr******ns.3322.org:54321 해당 C&C 서버와 통신을 시도하게 된다.



해당 C&C 서버와 통신이 성공하게 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공격자가 지정한 다양한 악의적인 명령들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공격자는 파일 업로드 및 다운로드, 인터넷 연결 접속 그리고 원격 명령을 수행하는 리모트 쉘(Remote Shell) 명령을 C&C 서버를 통해 내릴 수 있다.


이번 럭키캣 APT 공격과 관련된 특정 C&C 서버에서 발견된 안드로이드 악성코드들 모두 V3 모바일 제품군에서 다음과 같이 진단한다.


Android-Trojan/Infostealer.G

Android-Trojan/Infostealer.H


해당 2개의 안드로이드 악성코드가 실제 럭키캣 APT 공격에 사용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그러나 APT 공격과 관련된 C&C 서버에서 발견되었다는 사실로 미루어 볼 때, APT 공격을 수행한 공격자들은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제작과 유포를 통해 특정 조직의 중요 정보 탈취에 악용하고자 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