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멀버타이징(Malvertising)은 악성 프로그램을 뜻하는 멀웨어(Malware) 혹은 악성 행위를 의미하는 멀리셔스(Malicious)와 광고 활동을 뜻하는 애드버타이징(Advertising)의 합성어 이다. 멀버타이징(Advertising)은 광고 서비스의 정상적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악성코드를 유포 및 감염 시키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악성코드 제작자는 그럴 듯한 도메인 이름 - 예를 들어 호텔예약 정보 및 게임정보 - 을 갖는 위장된 광고 웹 사이트를 제작 후 광고 서비스에 이를 광고 한다. 제작된 웹 사이트 내용은 단지 취약점 페이지로 리다이렉트 – 그 이후 알려진 정상 웹사이트로 이동 - 되도록 설정 해둔다.
광고 서비스를 하는 업체는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에게 광고를 많이 노출 하도록 하기 위해서 동적으로 광고를 받아 올 수 있는 특정 파라미터를 갖는 URL 제공 한다. 제공 된 URL은 여러 웹 사이트에서 사용 되는데 보통 웹 서핑 중 방문 하지 않는 웹 사이트가 새로운 창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해서 보여지는 경우가 이와 같다.
멀버타이징 애드웨어는 (PUP/Win32.EoRezo) 동적으로 광고를 받아 올 수 있는 특정 파라미터를 갖는 URL 을 인코딩하여 내부적으로 가지고 있으며 주로 다음과 같은 웹 사이트에서 팝업을 통한 설치, 또는 크랙파일, 무료게임파일로 위장 되어 설치를 유도한다.
- 토렌트 관련 사이트
- 크랙 관련 사이트
- 음란물 관련 사이트
- 무료 게임 사이트
- 무료 동영상 플레이어 다운로드 유도 사이트
- 허위 플래시 플레이어 다운로드 유도 사이트
멀버타이징 (Malvertising) 애드웨어를 이용한 악성코드 감염방법
멀버타이징으로 악성코드에 감염 되는 경우는 크게 2가지로 웹 서핑시 웹 브라우저의 팝업으로 보여지는 광고 사이트에 노출 되거나, 멀버타이징 애드웨어가 사용된 경우, 사용자가 웹 서핑을 하지 않아도 설치된 애드웨어가 불규칙하게 웹 브라우저를 자동 실행한 후 광고를 받아 오는 특정 파라미터를 갖는 URL 로 접속 하여 광고를 보여준다.
웹 사이트가 정상적인 광고 웹 사이트라면 이런 자동 실행이 문제가 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보안이 취약한 웹 브라우저 또는 플래시 플레이어(Flash Player), 아크로뱃 리더(Acrobat Reader), 실버라이트(Silverlight), 자바(Java)가 설치된 경우라면 상황이 다르다. 사용자 의도와 상관 없이 애드웨어가 보여주는 웹 사이트가 취약점이 있는 웹 사이트로 리다이렉트 된 후 앞서 열거한 웹 어플리케이션 플러그인 취약점을 이용하여 악성코드에 감염이 될 수 있다. 멀버타이징을 이용한 방법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감염 시킬 수 있고, 웹 사이트 (도메인)를 자주 변경하여, 유포지를 찾거나 차단하기 어렵게 만든다.
2. 감염사례
- Angler Exploit Kit 에 의한 Cryptolocker 감염 사례
공격자에 의해서 제작된 booking(제거됨).pw 웹사이트는 위에서 언급한 ‘광고 관련 특정 파라미터_내부 URL' 중 하나인 다음 광고 서비스의 www.fh(제거됨).com/(특정 파라미터) 로부터 받아온다.
멀버타이징 감염사례_Fiddler_로그
이러한 공격 뒤에는 ‘익스플로잇 킷(Exploit Kit, EK)’이라는 악성코드를 제작, 관리, 유포를 자동화 할 수 있는 도구가 있으며 최근 공격에는 다음 익스플로잇 킷이 주로 사용 되고 있다.
- 앵글러(Angler) EK
- 리그(Rig) EK
- 매그니튜드(Magnitude) EK
3. 진단명
해당 멀버타이징 애드웨어에 대한 V3 진단명은 다음과 같다.
- PUP/Win32.EoRezo
- Win-PUP/EoRezo
'악성코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Locky 랜섬웨어의 변화 (3가지) (0) | 2016.04.07 |
---|---|
최근 급속히 유포되고 있는 신종 랜섬웨어, Locky (0) | 2016.03.24 |
검은 광산 작전 (Black Mine Operation) 분석 보고서 (0) | 2015.11.03 |
한글 제로데이 취약점을 이용한 악성코드 (0) | 2015.05.20 |
원본파일 복원이 가능한 TeslaCrypt 랜섬웨어 (2) | 2015.05.11 |
댓글